클라우드 관련 자료

<AWS > - 클라우드아키텍처가이드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aws_81.html - 통합아키텍처 설계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aws_1.html - 클라우드아키텍처특징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aws.html - 가용성,확장성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aws_64.html - 네트워크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aws_6.html <Azure> - 아키텍처 특징: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azure.html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azure-azure.html <GCP>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gcp.html <Serverless Computing> - 서버리스 컴퓨팅이란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blog-post.html - 서버리스 아키텍처설계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serverless-computing.html - 서버리스 컴퓨팅 특징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blog-post_1.html - 서버리스 컴퓨팅 도입시 고려사항 :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blog-post_30.html <Kubernetest 솔루션>  AKS:  https://hijemma.blogspot.com/2021/06/aks.html ...

Serverless computing 아키텍처 설계

이미지
  서버리스 컴퓨팅 적용 영역과 아키텍처 예시를 통해 아키텍처 고려사항을 기술하고, 서버리스 컴퓨팅 논리 아키텍처를 통해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서비스들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실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기존 환경에서 서버리스 컴퓨팅으로 설계하는 내용을 기술하여 실제 설계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1.  서버리스 컴퓨팅 아키텍처 설계 시 고려사항 1.1.  적용 영역 선정 1.1.1.  신규 소규모 서비스 빠르게 출시해야 하는 소규모의 웹사이트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높은 개발 생산성을 가진 서버리스 컴퓨팅을 이용해 구축하면 효율적이다. 또한 신규 서비스들은 수요 예측이 어려운데 서버리스 컴퓨팅의 자동 확장 기능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대규모 아키텍처는 함수들 관리가 복잡할 것이고 이를 통합 모니터링 하거나 디버깅하기 어렵다. 또한 동시 실행 수나 실행시간의 제한으로 인해 다른 소프트웨어 구축 방안들보다 더 많은 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  1.1.2.  Add on 기존 시스템에 기능을 추가할 때 서버리스 컴퓨팅의 도입할 때, 새로운 기능에 서버리스 컴퓨팅의 트리거가 될 서비스만 연결하면 해당 기능이 변경되어도 기존 시스템 패치 없이 함수만 변경하면 되어 보다 빠른 대응이 가능해지며, 기존 시스템에서 자주 변경되는 기능들도 이와 같이 리팩토링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을 전체 마이그레이션 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행해야 한다면 특정 기능을 점진적으로 교체하여 단계적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스트랭글러 패턴을 이용해야 한다.  1.1.3.  이벤트 드리븐 마이그레이션 기존 아키텍처를 이벤트 드리븐 아키텍처로 마이그레이션 할 때 서버리스 컴퓨팅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eb socket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많아지면 많은 서버가 필요한데 이벤트 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