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less computing 특징
1. 서버리스
서버리스 컴퓨팅은 공급사에서 서버를 관리하여 사용자는 서버 프로비저닝, 설정, 구성을 할 필요가 없고 운영체재 패치를 위해 수 많은 서버들을 롤링 업데이트 하거나 중단 타임을 가질 필요가 없다. 내부적으로 컨테이너 기반으로 되어 있지만 사용자는 이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없다.
2. 이벤트 드리븐
서버리스 컴퓨팅은 함수(코드)를 등록하고 트리거로 호출하면 동작하는 방식이다. 서버리스 컴퓨팅을 호출하는 방식은 주로 HTTP나 Queue, 게시/구독, 데이터 스트림 또는 특정 서비스 폴링 이벤트로 플랫폼 별로 상이하다.
3. 개발 생산성
서버리스 컴퓨팅은 서버 관리가 필요 없어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각 함수 별로 언어가 달라도 동작에 지장이 없어 상황에 맞게 언어를 선택하여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Polyglot Programming 이 가능하다.)
4. 자동 확장성
클라우드 환경으로 인해 시스템의 확장이 보다 편리해졌다. 가상머신이나 컨테이너는 Autoscaling 기능 설정을 통해 서비스 부하에 맞춰 자동으로 확장한다. 서버리스 컴퓨팅은 여기에서 더 발전하여 설정 없이 요청 수에 맞춰 자동으로 확장한다.
5. 비용 효율성
서버리스 컴퓨팅은 사용한 만큼 비용이 발생하며 보통 과금은 실행 시간과 요청 횟수로 이루어져 있기에 대기 시간 과금이 없어 자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이라면 가상머신보다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